Spring boot

▶️상황 현재 피파 전적검색 앱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사용자가 전적갱신을 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로직으로 진행하게 된다. 사용자의 닉네임을 입력받아서 고유한 사용자 식별자(UID)를 가져온다. 1번의 UID를 통해 해당 사용자의 매치 리스트를 조회한다. 매치 리스트를 가져와서 각 매치에 대한 상세 정보를 요청한다. 이때, 만약 매치가 100개라고 가정했을 때, 3번의 요청이 동기적으로 수행된다면 다음과 같은 일이 발생한다. 각각의 요청이 하나씩 순차적으로 처리하게 된다. 즉, 첫 번째 요청이 완료되어야만 두 번째 요청이 시작되고, 두 번째 요청이 완료되어야 세 번째 요청이 시작된다. 따라서, 3번째 요청은 1번째 요청이 완료되고 2번째 요청이 진행 중일 때까지 대기하게 된다. 이 경우, 전체적으로 매..
▶️상황 현재 프로젝트에서 금융결제원 오픈 API를 사용하고있는데, 테스트 API와 실제 운용 API가 나누어져있다. 개발 서버에서 실제 운용 API를 사용하여 테스트하면 안되기 때문에 이를 각각 개발 서버와 운영 서버에 맞게 분리 해야하고, 환경 설정 값들을 그에 맞게 적용해야한다. ▶️Spring 에서 설정 값을 어떻게 적용시키는가? 참고문헌 https://docs.spring.io/spring-boot/docs/1.2.0.M1/reference/html/boot-features-external-config.html Spring Boot 에서는 Environment 추상화를 통해 환경 설정 값들에 접근할 수 있다고 한다. 우리는 PropertySource Interface 가 Environment에 ..
장똥구리
'Spring boot' 태그의 글 목록